이전에 작업했던 현장입니다.
작업부분외 추가발주로 이전과 같은방식으로 작업합니다.
우레탄마감 옥상바닥 입니다.
우레탄때문에 균열은 미세해 보이지만, 미세한 균열아래에는 훨씬 넓은 균열이 있습니다.
강수량이 많거나 물빠짐의 원활하지 않을경우 누수가능성이 있습니다.
마감의 손상부분 확인합니다.
우레탄작업시 실외기를 띄우지않고 작업한 흔적입니다.
신축시 설치해 놓은 비계파이프를 철거하지않고 미장마감했으며 우레탄작업시 처리가 약간 미흡했습니다.
옥상 우수관의 걸림망이 우레탄 작업과정에서 많이 막힌상태입니다.
스텐 걸림망의 경우 이물질 (도료)제거는 그라인더 컵부러쉬를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균열부분 보수 작업입니다.
마감된 우레탄을 도막제거날을 이용해서 깍아내는데 면이 거칠수밖에 없습니다.
그라인더 사포날로 우레탄 접합면을 정리합니다.
단차를 줄이려면, 약간 깍아내기도 해야하니 거친40~80 정도의 사포날이 적당합니다.
옥상이라서 바람에 먼지가 날릴수있으니 가능한만큼 청소합니다.
탑코팅부분까지는 필요없으며, 노출된 시멘트 부분 위주로 하도(프라이머)도장합니다.
깍여진 우레탄부분도 하도를 칠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양작업.
작업범위를 미리 줄긋고 종이테이프로 1차 보양후 커버링테잎으로 2차 보양작업합니다.
중도를 스크레퍼(헤라)나 쇠손으로 작업하면서 기존면과 맞게 단차를 최소화 하려면,
오염 범위가 약간 넓어지니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중도 배합할때 양이 적으면 작은통에 주제와 경화제를 넣고 약간 큰 통 안에 넣고 배합하면
주변오염을 최소화 할수 있습니다.
중도마감하고 보양테이프 제거후.
단차를 최소화 한다 작업해도 생기는 부분입니다.
사포날 그라인더로 돌출부분을 최대한 기존면에 일치되게 경사지게 깍아줍니다.
사진이 중간에 잘못 들어갔습니다.
실외기 설치자리 보수 내용입니다.
이곳은 옥상층 누수세대와 무관한 부분이라서 중도작업에 필요한 만큼만 면처리했습니다.
면처리.
하도 .
중도
단차제거, 청소.
중도 경화후 상도작업전에,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과 단차제거후.
청소후 보양작업하고 상도 작업.
비계 파이프자리 보수.
날씨가 더워서 그런지 중간 작업사진들을 찍지 못했네요.
돌출부분 제거 --> 내부에 먼지 제거--> 외부 그라인더작업 --> 우레탄 하도--> 중도 --> 상도
이렇게 마감했습니다.
'옥상방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상바닥 구조물 주변방수 (0) | 2025.01.23 |
---|---|
노출우레탄 균열보수 (0) | 2024.09.05 |
옥상바닥 노출우레탄 부분작업 (0) | 2024.06.26 |
대리석마감외벽 창틀누수. (2) | 2024.04.20 |
옥상 물탱크실 몰탈방수 (0) | 2024.03.17 |